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캐시
- 쿠키생명주기
- 조건부요청
- 쿠키보안문제
- 300
- HTTP상태코드
- UrlResource
- no cache
- resolveArgument
- Could not find or load main class worker.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GradleWorkerMain
- http
- 서블릿필터
- etag
- 프록시 캐시 서버
- Expires
- supportParameter
- 서블릿http세션
- 프록시객체
- 세션만들어보기
- hikaricp
- must revalidate
- 양쪽 모두 값 설정
- gradle오류
- max age
- Not Modified
- www-Authenticate
- 검증헤더
- 세션타임아웃설정
- HTTP API
- 인증체크
- Today
- Total
목록hikaricp (2)
복습을 위한
스프링부트2.0부터는 기본적으로 Spring Boot의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스타터 의존성을 추가하면, 해당 스타터가 자동으로 필요한 라이브러리 및 구성을 가져오기 때문에 별도로 HikariCP를 명시적으로 추가할 필요가 없다. 스프링 스타터에서 패키지를 추가해 다운받아주자.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 또는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jdbc' } 이렇게 되어있을거다. 그럼 따로 설정할 필요없다. 없으면 의존성을 추가해주자. application.properties spring.datasour..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획득할 때는 다음과 같은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1. 애플리케이션 로직은 DB 드라이버를 통해 커넥션을 조회한다. 2. DB 드라이버는 DB와 TCP/IP 커넥션을 연결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3 way handshake 같은 TCP/IP 연결 을 위한 네트워크 동작이 발생한다. 3. DB 드라이버는 TCP/IP 커넥션이 연결되면 ID, PW와 기타 부가정보를 DB에 전달한다. 4. DB는 ID, PW를 통해 내부 인증을 완료하고, 내부에 DB 세션을 생성한다. 5. DB는 커넥션 생성이 완료되었다는 응답을 보낸다. 6. DB 드라이버는 커넥션 객체를 생성해서 클라이언트에 반환한다. 이렇게 커넥션을 새로 만드는 것은 과정도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많이 소모되는 일이다. DB는 물론이고..